오랜 친구

서울대학교 문화관 계획안

이 세상을 살면서 내가 알게 되는 사람들과의 만남들은 모두가 소중하고 의미가 있다. 그 중에서 어렸을 때 만난 사람들, 종종 연락하며 지내는 오랜 친구는 내 삶에 큰 의미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 친구들 중에서 함께 공부하고 같은 길을 걷고 있는 정환이와의 추억들은 내 삶을 더욱 의미있고 즐겁게 해주는 것들 중 하나이다. 오늘 그 친구이야기를 시작한다.

지난 두달간 정환이와 함께 건축 디자인 공모전에 참여했다. 작년에 함께 공모전 하나를 시작했다가 끝내지 못한 기억이 있어 언젠가 다시 그 아쉬움을 지울 수 있는 기회가 오길 바랬는데 바로 그 기회가 두달 전에 우리에게 왔다. 작업을 다 마무리하고 뒤를 돌아보니, 오랜만에 오랜 친구와 참 즐거운 시간을 보낸거 같다. 둘 다 낮에는 회사를 위해 열심히 일하고 밤에 짬내서 공모전 내용을 파악하고, 아이디어를 내고, 안을 만들고, 안이 바뀌고, 맘에 안들고, 다시 정신차리고, 중간에 휴가도 다녀오고, 그러다가 방향이 잡혀서 결국 잘 마무리를 지었다. 이제는 마감 못했던 지난번 기억을 뒤로 할 수 있을것 같다.

같은 고등학교를 나온 우리는 서로 다른 대학으로 가는 게 아쉬워, 대학 대신 같은 재수학원에서 일년을 더 함께 공부했다. 재수기간동안 정환이와 좀 더 친해졌고, 건축학과에 합격해서 나란히 건축가의 길을 시작했다. 학기말이 되면 집 앞에 있는 준호프라는 치킨맥주집에서 서로 작업한 프로젝트의 모델을 갖고 나와 나름대로의 건축가의 눈과 귀, 입을 만들기위해 서로 썰을 풀곤 했다. 그러고 보니 그때 한참 담배피던 시절인데 준호프 아저씨께서 나눠주신 담배 한개피가 지금도 참 좋은 추억으로 남아있다.

졸업학기가 되었을 때에는 서로 졸업작품을 마무리하는데 도움을 주면서 각자 학교에서 밤을 새었다. 아직도 생생한 기억중에 하나가 정환이의 모델을 만드는데 계단 하나가 머리가 닿을 정도로 낮았는데 건축을 전공하지도 않았는데 함께 도와주러 온 형석이란 친구와 함께 이걸 어떻게 바꿔야 하나 하며 함께 한바탕 크게 웃었던 기억이 난다.

대학을 마치고 함께 미국으로 건너와 대학원 공부를 시작했을 때에도 정환이와 함께 미국에 와 있다는 사실이 나에게는 큰 힘이 되었다. 방학만 되면 정환이를 보러 Providence에 자주 갔고, 정환이도 내가 있었던 보스턴에 종종 놀러오곤 했다. 서로 서투른 영어를 갈고 닦기 위해 서투른 영어를 서로에게 써가며 전화했던 기억은 생각할때마다 입가에 미소를 짓게 만든다. 함께 뉴욕에도 가보고, 엑시터에 있는 루이칸 도서관, 로체스터에 있는 루이칸 채플 등도 보러 가고, 고등학교 친구를 만나러 버팔로에 간적도 있었다. 스위스에서 잠시 머물던 시절에는 기타와 T자를 등에 매고 나타난 정환이와 같이 먹고 자며 몇일을 보냈었다. 열심히 일하고 돌아오면 집에서 띵가띵가 기타치며 노는 정환이를 보며 부러워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정환이가 떠나던 날, 서로 아쉬어 포옹하고 끝인사를 나누는데 아무소리 없이 들어온 ICE 고속열차는 역시나 아무소리 없이 떠나버려 정환이는 다음 열차를 타야했다. 기차를 바로 앞에 놓고 기차를 놓치는 그 추억은 생각할때마다 웃지 않을 수가 없는 우리들의 추억의 코메디가 되었다. 참 많은 추억의 장소에 정환이와 함께 있었던 것 같다.

이번 공모전을 걔기로 그동안 우리가 함께 얼마나 성장했는지, 그리고 우리 앞에 펼쳐진 끝없는 건축가의 길을 걷는데 정환이가 나에게 얼마나 소중한 길동무인지를 다시한번 느낄 수 있었다. 앞으로 정환이와 함께 있을 또다른 추억의 장소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는 생각에 이 친구에게 더욱 고맙고 오늘하루가 더 흐뭇하다.

A moment from Basel

내가 닮고 싶은 사람들

조가족

처음에는 나를 닮은 사람들인 줄 알았는데 계속 만나고 얘기하면서 알게 되었다. 이녀석들, 참 닮고 싶은 사람들이다. 큰 녀석은 항상 호기심이 많고, 일상에서 하고 싶은 것들을 발견하면 쉼없이 연습해 배워가며 대가의 경지에 이른다. 작은 녀석은 갑자기 나타나 아무도 모르는 사이에 조용히 혼자 깨우치고 터득한 것들을 마술처럼 하나씩 보여주며 사라지는 능력이 있다. 이녀석들 덕분에 나도 그동안 살아오면서 알아차리지 못하고 지나쳤던 많은 것들을 하나씩 발견하고 배워가며 지낸다. 그리고 우리 셋이 이렇게 조금씩 배워가며 더 좋은 사람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곁에서 지켜보며 끊임없는 지도편달을 아끼지 않는 이 사진작가 또한 내가 많이 닮고 싶은 사람이다. 내가 닮고 싶은 사람들과 매일 함께 사는 나는 참 운좋은 녀석이다.

Patagonia

At the very beginning of my time in the USA, my life was shaped a lot by Yoshiki Mishima, a good friend of mine at the GSD. I got to know Clark Terry, a trumpet player, when he brought me to his concert, which led me to get me my own trumpet and to play the instrument for a long time. He also showed me Pinocchio, a pizza place in Cambridge, where I had many lunches and dinners while living in Cambridge. He also introduced me to Mt Auburn Cemetery near where I live and the peaceful garden cemetery was a destination for my Sunday running routine.

Three guys on top of Mount Pilatus near Lucerne, Switzerland in 2006

One of the best ones I got introduced to was the Patagonia, the clothing brand from where I got my first down parka in the United States, which is the blue one in the photo above taken at the top of Mount Pilatus. Sung-goo, who is in the middle, once told me that the design of the particular down jacket does not fit an architect’s profession and an architect should avoid wearing this kind of jacket. Despite the comment, I have worn the jacket every winter for almost 15 years. Last year, when I went to the Patagonia store in Chelsea to check if I can fix worn parts of the jacket, the lady working there told me I had two options. I can either wait for about a month to get a patch which could be a different color of the fabric since it is an old design or get a brand new one in exchange for the 15-year-old architect-unfriendly down parka. I chose option # 2 and, this time, I chose a design that Sung-goo would approve as an architect’s jacket. It was the moment when my respect for the brand became permanent.

Yvon Chouinard with his Korean Friends in front of Insubong near Seoul, Korea in 1963

Recently, I happen to start reading a book by Yvon Chouinard, founder of Patagonia. I was surprised to know that the founder was the one who climbed the North America wall of El Capitan in Yosemite National Park. I learned from the book that he also climbed a couple of rocky mountains in Korea during his military service in Korea. He started his business as a manufacturer of equipment for rock climbing. With his spirit of iron craftsman, he started making durable and comfortable clothing for himself and his friends which ended up becoming Patagonia. I was able to learn where the great quality of Patagonia and the state of the art customer service came from while getting to know more about their philosophy of the workplace.

Work had to be enjoyable on a daily basis. We all had to come to work on the balls of our feet and go up the stairs two steps at a time. We needed to be surrounded by friends who could dress whatever way they wanted, even be barefoot. We all needed to have flextime to surf the waves when they were good, or ski the powder after a big snowstorm, or stay home and take care of a sick child. We needed to blur that distinction between work and play and family.

– by Yvon Chouinard

In many ways, Patagonia has been a positive impact on my life as they do on the environmental issue. It was nice to see scenery of my country from their website. Recognizing the natural living environment and sharing them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seems to be in line with what they are doing with their clothing business. The love of my life once told me that she wanted to get to know more about me because I was wearing Patagonia when we first met. That is one of many reasons why I need to visit Tokyo and say thank you to Yoshi again.

Reykjavik, Iceland

Hallgrimskirkja in Reykjavik

15년 전, Reykjavik을 우연히 방문하면서 나의 유럽여행은 시작되었다. 그 당시 가장 저렴한 항공편이 Iceland Air가 아니었다면 아마도 이 도시는 내 여행 일정에 포함되지 않았을 것이다. 세상의 많은 일들은 이렇게 우연히 일어나 내 삶에 의미있는 이야기의 일부가 된다. 난 이 도시에서 처음으로 백야를 보았고, 처음으로 Alvar Aalto의 건축공간을 경험했으며, 이 도시에서 가장 높은, 이 나라에서 두번째로 높은 이 교회 앞에서 80일간의 유럽여행 중 그려질 수많은 스케치들중의 한장을 그리며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는 이 도시에 홀로 서 있었다.

Öskjuhlíð in Reykjavik

지난 달 가족들과 함께 Reykjavik을 다시 방문했다. 내가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이 이 사진 속에 있다. 그 중 호기심이 가장 많은 이 녀석이 지난번 방문 때 내가 스케치북에 남겼던 교회를 다른 장소,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 Hallgrimskirkja는 15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의젓한 모습으로 청명한 파란 하늘을 홀로 떠받치며 우뚝 서 있었다. 난 아이의 눈을 통해서 이 교회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한다. 세상을 살아오면서 알아차리지 못했던, 관심조차 없었던 것들을 이녀석 덕분에 하나씩 새로 발견하고 배워가고 있다. 내가 좀 더 좋은 사람이 되어가고 당당한 건축가가 되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이 친구가 이 세상에 찾아온 것이 얼마나 고마운지 모른다. 앞으로 이녀석과 함께 세상 곳곳을 함께 여행하며 재밌는 이야기를 만들어갈 생각을 하니 흐뭇한 마음에 설레인다.

트럼펫

처음 유학을 왔던 그 해, 우연히 Clark Terry의 공연을 동네 호텔의 작은 Dining Hall에서 보게 되었다. 시각 장애인인 그 흑인 음악가는 친구의 도움을 받아 공연을 위해 마련된 스툴에 앉았다. 비록 나이도 많고 앞도 보질 못하는 사람이었지만, 그가 손바닥만한 포켓 트럼펫을 연주하기 시작했을 때 아직도 선명한 강한 인상과 감동을 받았다. 그리고 무슨 생각이 들었는지 공연을 본 지 한달이 지났을 즈음, 헌 트럼펫을 샀다. 누군가가 오래동안 사용한 흔적이 구석구석 남겨진 중고 트럼펫이었지만 유학생인 나에게는 큰 부담이 될만한 가격이었다. 당시 컴퓨터를 사야할 돈으로 트럼펫을 샀던것 같다.

16년전에 샀던 그 트럼펫을 최근에 다시 꺼내들었다. 동네 교회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딸아이의 모습을 보고 무언가 영감을 얻고 창고에 숨어있던 이녀석을 다시 꺼네든 것이다. 오랜만에 소리를 내어보니 역시 쉽지 않다. 처음 트럼펫을 사고 유튜브를 보며 소리를 내어 보려고 별짓을 다 했다. 결국 트럼펫을 샀던 악기상 주인에게 일주일에 한번씩 한달간 네번의 레슨을 받고 나서야 내가 산 트럼펫이 문제가 아니고 내가 뭘 몰라서 그동안 소리가 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이 트럼펫으로 참 많은 사람들에게 민망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내 생일만 되면 함께 모인 장소에서 이 트럼펫을 꺼내들고 일년간 연습한 곡들을 연주했다. 어디서 그런 용기가 있었는지 지금 생각해보면 참 대견스럽다. 실력도 없는 녀석이 트럼펫을 남들앞에서 불겠다고 하는 것 자체가 생각하면 할수록 정말 내가 그랬나 싶을 정도다. 앞으로 그럴 수 있는 날이 또 올까? 아마도 쉽지 않을 것이다.

지금 일하는 곳은 2009년에 점심먹다가 난데없는 공연을 했던 사진속의 공원과 가깝다. 이곳을 지날때면 그때 생각이 난다. 참 좋은 사람들이 많았던 나의 뉴욕 첫 직장. 날씨가 따뜻했던 봄날 회사 동료들과 함께 이 공원에서 점심을 먹고 나의 생일축하노래를 그들을 위해 연주했다. 그때 이후로 오래동안 놓았던 트럼펫을 다시 불기 시작하는 것처럼, 예전에 점심을 자주 먹었던 그 공원에 다시 돌아와 점심시간에 산책을 하는 것처럼, 인생은 돌고 돈다.

2009년 여름 점심시간에

사진을 담는 미술관은 어떻게 생겼을까?

지난 몇달간 위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밤낮으로 나를 포함해 많은 사람들을 괴롭혔다. 당선안을 보고 마음속으로나마 축하의 메세지를 보낸다. 건축일을 열심히 하다보면 그 오스트리아 건축가와 직접 만나 그때 난 이런 안을 내었다고 얘기해줄 수 있을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했다. 나의 건축가의 길… 이제 시작이다.

서울사진미술관 공모전 계획안

Cambridge, MA

미국에 와서 처음으로 살았던 도시에 오랜만에 다녀왔다. 켐브리지란 도시 이름이 참 어색했는데, 이제 미국에 있는 고향처럼 느껴지는 이 도시는 언제나처럼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었다. 10여년의 넘은 뉴욕 생활이 마치 한낮의 꿈같이 느껴졌다. 미국에서의 시작점에 돌아오니 그동안의 미국 생활을 되돌아 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눈에 뛰는 점은 내가 참 운이 좋은 녀석이라는 점이었다. 처음 이곳으로 오는 비행기에서 내가 이 나라에 얼마나 살 수 있을까.. 미국 사람들이 하는 말을 알아들을 수나 있을까.. 학업은 제대로 마칠 수 있을까.. 직업은 구할 수 있을까.. 등등의 고민을 하며 왔는데 지금까지 이곳에서 살고 있다는 게 참 고마웠다. 이세상 재밌게 살아볼 수 있게 기회와 격려를 주시는 부모님께 고마웠고, 나에게 다양한 영감을 주시는 선생님들께 고마웠고, 내가 살아오면서 알고 지내는 수많은 친구들에게 고마웠고, 내 부족함을 지켜봐주는 내 부인에게 고마웠다.

난 요즘 다시 학교로 돌아온 느낌이다. 새로운 시작점에 서 있다. 하고 싶은 것과 배울 것이 너무나도 많다. 아마도 그런 기분 덕에 이 블로그도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지금 나는 미국으로 오는 그 비행기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내가 되었다. 앞으로 10년이 지나면 그때 내 모습도 지금 내가 상상할 수 없는 누군가가 되어 있을 것이다. 그때에도 지금처럼 흐뭇하게 지난 10년을 돌아볼 수 있도록 이 작은 공간에 큰 꿈을 가득 채워 오늘 하루를 시작한다.

다행한 복

읽을 책 곁에 있고, 햇차도 들어왔고, 열린 귀로 개울물 소리, 때로는 음악소리를 들을 수 있으니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이 밖에 무엇을 더 바라겠는가. – 법정

오랜만

오랜만에 사람을 만나게 되면, 그 사람과 자주 만났던 그 시절로 돌아가는 경험을 하게 된다. 갑자기 젊어진 기분과 함께, 그동안 그사람에게 알려주지 못했던 내 삶의 다양한 일들이 밀물처럼 밀려온다. 그와 비슷한 경험을 요즘 한동안 묶혀두었던 내 책들을 통해서 하고 있다.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기 전에 미국에서 쓸 첫 살림들을 5개의 박스에 담아 배로 붙혔다. 보스턴에 도착한 지 1달이 더 지나서야 오랜 바닷여행을 짐작할 수 있는 허름한 모습으로 여름동안만 묶었던 집 앞 현관에 도착했다. 박스 하나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모습으로 산타할아버지 보따리에 담겨져 도착했다. 그 중 3개의 박스 안에는 그 이후 오랜동안 읽혀지지 않을거라는 운명을 알지도 못하는 건축책들로 채워져 있었다.  10여년이 지난 지금 난 다시 그 책들을 보고 있다. 아주 오랜만에 보는 책들이기에 반갑고, 나눠야 할 이야기가 많다. 지금은 거장이 되어 있는 건축가들이 그 책들 속에서는 지금의 나같은 젊은 건축가들이었다. 그들의 초기작들을 보면서 한 건축가의 초심을 엿볼 수 있고, 그 책들을 처음 들었던 내가 어떤 생각들을 했었는지 발견할 수 있다. 건축 공부를 시작한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난 아직도 배워야 할 것들이 더 많은 건축가 신입생이다. 같이 공부를 시작했던 많은 친구들의 얼굴들이 주마등처럼 뱅글뱅글 스치듯 지나간다. 그들과 오랜만에 만나는 날 난 또 얼마나 젊어지게 될까?

젓 먹는 아기

모유로 자식을 기른 엄마는 안다. 아기는 엄마 젓을 먹을 때 반드시 한 손으로 다른 한쪽 젓을 조물락거린다.  그건 아기가 뱃속으로부터 배워가지고 나온 엄마에 대한 애정표현이고, 이 세상이 살 만한 곳이구나 확인하고 안도하는 인간에 대한 믿음의 시작이다. – 박완서

젓먹이는 아내 – 박수근